목록선도와 요가 (173)
谷神不死

'유기(留氣)'란, 끌어들인 기운을 丹田에 머무르게 한다는 뜻이다. 이것을 숨을 멈추는 것으로 오해해서는 안 되며, 호흡 간에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해야 한다. 유기를 바르게 하기 위해서 태극 호흡을 연습하면 좋다. (졸저 민정암의 氣 참조) 날숨이 제대로 되면 들숨은 신경 쓸 필요가 없다. 호흡은 한 벌이기 때문이다. 단전호흡이 무르익으면 날숨(내쉬는 숨) 때 반(半) 역호흡이 되면서, 단전 상단에 쳐진 그물이 진기(眞氣)를 붙잡아 가두게 된다. 그것이 태극 호흡이다. 용호결에서는 폐기(閉氣)라 하였지만, 머무를 유(留)자를 사용한 쓴 것에 유의해야 한다. 유기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 호흡과 동작이 콤비를 이루는 외단공(태극15세)을 배우면 효과적이다.

단전호흡을 하노라면,결국은 순수의식(純粹意識), 그리고 모이고 흩어지는 에너지만 남는다. 그것을 우리는 '단전 삼매'라 부른다. 거기엔 감정(感情)도, 본능(本能)도 숨어버리고, 의식과 에너지의 집합체만 남는데 우리는 그것을 '양신(陽神)'이라 부른다. 그것이 선도(仙道)가 추구하는 바다. 거기까지 이르려면, 우선 단전(丹田)을 알아야 하고, 축기(蓄氣)를 할 줄 알아야 한다. 축기가 되기 위해서는 일심(一心)의 지난(持難)한 세월이 필요한데,그것을 단축해 주는 것이 '외단공(外丹功)'이다. 외단공이 기운을 끌어 모아주면 축기가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축기가 되지 않고는 소주천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고 소주천이 되지 않고는 양신을 할 수가 없다. 순서를 말한다면 단전, 축기, 소주천 그리고 양신이..

우리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절대로 필요하며, 그 핵심은 호흡에 있다.호흡에는 폐호흡과 피부호흡이 있으며, 그중 30%는 폐가, 나머지 호흡은 알게 모르게 피부가 담당한다. 코로 들어온 공기는 폐에서 그치고 말며, 단전까지는 이르지 못한다.단전호흡은 별개의 호흡 시스템이다.단전호흡은 피부를 통해 대부분의 에너지를 끌어들이는데, 그것은 단전호흡을 해보면 알 수 있다.물론 단전호흡 역시 폐의 도움을 받지만, 폐가 하는 일은 단지 호흡의 촉진이다. 그러므로 조건이 바뀌어 단전이 완전한 일을 하게 되면 폐는 필요 없게 된다. 현재로선 이해가 어려운 일이지만 말이다.태아는 코를 사용하여 숨 쉬지 않는다. 그들은 탯줄을 사용한다. 그래서 단전호흡의 완성을 태식(胎息)이라 하는 것이다.에너지체, 즉 양신(陽神)..

이 몸은 '내'가 아니며, 생각도, 느낌도, '나'는 아니다.엄밀히 말한다면, 그것들을 알아차리고 있는 신비한 '무엇'이 '나(자아)'이다.하지만 '그것만을 나'라고 해서는 안 된다.알아차림 역시 대상, 그리고 에너지(氣)와 함께 존재한다. 그리고 에너지의 작용이 없으면, 알아차림도, 대상도 없다.선도(仙道)에서 氣를 중요시하는 것은 그런 이유이다.선도의 핵심은 알아차림(神)과 에너지(氣)의 계합이며, 거기서 우리는 무너짐이 없는 영적 존재, 에너지체를 만난다.그것을 가리켜 양신(陽神)이라고 하며, 그것이 지구에 사는 우리의 마지막 공부이다.처음 공부는 당연히 단전호흡이고...

소주천(小周天)을 모르고 선도(仙道)를 말할 수 없으며, 단전(下丹田)의 활성화가 없는 소주천은 역시 불가능하다.선도의 순서는 1. 기(氣) 알아채기, 2. 단전 가동하기, 3. 소주천, 4. 태식(胎息)이다.몸이 열리기 전에 함부로 단전호흡을 말하지 말라.먼저 단전부터 챙겨야 한다. 선도에서 단전은 절대적이다. 그리고 몸이 열려야 단전도 열린다. 복식호흡을 오래 한다고 단전호흡이 되는 것은 아니다.단전을 살려내기 위해서는 먼저 코드가 맞는 스승을 만나야 하며, 그를 절대적으로 신뢰해야 한다. 물론 노력이 필요하지만, 스승과의 코드 맞춤이 더 중요하다. 아니면 수행을 지속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선도의 마무리는 태식이다. 태식(胎息)은 2단계 단전호흡이며, 소주천 이후에나 가능하다. 그것은 양신(陽神)..

소주천(小周天)이 없는 선도(仙道)는 선도가 아니다.소주천은 선도의 1차 관문이자, 핵(核)이기 때문이다.선도의 1차 목표는 건강, 그리고 기맥(氣脈)들이 잘 열려있을 때 우리는 건강하다.소주천은 임맥(任脈)과 독맥(督脈)의 활성화이며, 그것은 전신 기맥들의 사령탑이 된다.2차 목표는 양신(養神), 즉 에너지체를 만드는 것이다. 에너지체(陽神)는 기(氣)와 의식(神)의 계합체이며, 에너지체가 완성될 때 우리는 살아도 살고, 죽어도 살게 된다.소주천의 회전력은 氣를 청정하고 힘차게 만든다. 그리고 그것이 養神의 기초가 된다.

선도(仙道)는 단전호흡(丹田呼吸)으로 시작하고, 마무리 짓는다.단전(丹田)을 모르고 선도(仙道)를 말할 수는 없으며,단전호흡을 모르는 선도는 일반 건강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복식호흡(腹式呼吸)과 단전호흡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 복식호흡과 단전호흡은 전혀 다른 것이다. 반복해 말하지만, 하복부를 사용하는 호흡을 복식호흡이라 하고,단전을 사용해서 호흡해야 비로소 단전호흡이다. 즉, 기운을 밀려 들어올 때 단전이 반응해 부풀어 오르고,기운이 수렴(축기)될 때도 단전이 반응하는 호흡이어야 한다. 보통 호흡(복식호흡 포함)과 단전호흡은 횡격막이 반대로 움직인다. 보통은 숨을 들일 때 횡격막이 밑으로 팽창하고, 숨을 내쉬면 횡격막이 위로 움직여 제자리를 찾게 되어 있다. 하지만 단전호흡은 반대다. 단전호흡..

들고 나는 숨을 관찰하다 보면, 마음이 고요해집니다.그리고 관찰을 지속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에너지를 알게 됩니다. 숨은 곧 에너지(氣)이기 때문입니다.편안함을 얻는 것에서 공부를 그칠 수 있습니다.하지만 편안함은우리를 잠으로 유도합니다. 그것은 건강에 유리합니다.거기서 공부를 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에너지 활용이 목적이라면, 주시력(注視力)을 더 길러야 합니다.주시가 끊기면 에너지도 끊기기 때문입니다.그래서 꼭 필요한 것이 단전(丹田)입니다. 단전은 주시의 견인차가 되기 때문입니다.

깨달으려면, 생각에 침몰당하지 말고, 생각하는 자가 누군가를 의식해야 합니다.번뇌와 망상이 일을 때, '누가 번뇌 망상하는가?'를 의식한다면, '정정진(正精進)'이라 할 만 합니다.'단전과 의수 하는 자'를 동시에 관조(觀照)해야, 바른 '의수단전(意守丹田)'입니다.하지만 그것이 쉽지만은 않습니다. 생활 자체가 수행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무슨 뜻일까?', '왜 그런 말을 했을까?'에 마음 두지 말고, '의문을 품고 있는 자'를 의식해야 합니다. 그것이 속히 깨닫는 비결입니다.

"수행에 몸의 움직임은 별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 있다. "의념만으로 단전을 깨우겠다"는 사람도 있다. 그것만으론 부족하다. 수행이란, 몸과 마음의 오케스트라이기 때문이다. 단전이 열리고 나면 자연히 알게 된다. 모든 기맥(氣脈)이 단전과 연결되어 있음을 말이다. 몸을 소홀히 해선 안 된다. 막혀있던 기맥들이 열려야 그 기운이 단전 활성화로 연결된다. 외단공(外丹功)은 일반적인 운동과는 다르다. 그것은 단전과 온몸을 연결하는 운동이기 때문이다. 단지 의념만으로도 수련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공부의 마무리를 기대할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