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축기 (29)
谷神不死

선도인(仙道人)은 세상사에 올인하지 않는다.첫 번째 이유는 다투기가 싫기 때문이며,또 하나의 이유는 돈과 권력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기 때문이다.선도인은 성명쌍수(性命双修)를 이해하고 실천한다.그 말은 세상에 살고 있는 한 건강도 소중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또한 지구에서의 삶이 모두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영원의 관점에서 지구에서의 100년은 찰나(札剌)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자기관조(自己觀照)에 소홀하지 않으며,늘 축기(蓄氣)에 힘쓴다.그들은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도록 늘 자기를 제어한다.

선도(仙道) 수행은 장사하는 것과 같다. 불황에 월말 지출할 거 하고 작은 장사가 100만원 정도 저축이 가능하다면 장사 잘 한 것이다. 에너지는 소모되게 되어 있다. 할 일을 해가며 여기저기 힘을 쏟으며 부담없이 살았는데 단전(丹田)을 들여다 보니 에너지(氣)가 넉넉하다면 성공한 수행자이다. 에너지를 남기며 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쓸데없는 욕심 줄이고, 늘 단전에 마음을 두고,하루 한 두시간 외단공(外丹功)을 꾸준히 한다면 충분하다. 공부에서 의수단전(意守丹田)은 기본이다.노느니 염불(念佛)한다고 늘 단전을 주시(注視)하고 산다면 누구라도 잘 한다 소리를 들을 것이다. 축기(蓄氣)가 충분하면 기운(氣運)이 움직이려 할 것이고,氣의 흐름만 주시하면 소주천(小周天)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물..

수영의 첫 단계는 수평 뜨기이다.힘을 빼고 머리를 물에 담그면 몸은 뜨게 마련이다.하지만 중심을 아랫배(Core)로 잡지 못하면 다리가 자꾸 가라앉아 길게 앞으로 헤엄쳐 나갈 수가 없다. 선도(仙道)의 움직임(動功)은 1차로 통기(通氣)를 위한 방편이지만, 결국은 코어, 즉 단전(丹田)을 깨어나게 하는 것이 주목적이다.코어를 모르면 힘만 들고 수영이 늘지 않듯이, 단전을 모르면(깨어나게 못 하면) 모양과 이론만의 仙道에 그치고 만다.수영을 안다는 사람이 많지만, 유사시 구조대가 올 때까지 물 위에 떠 있을 사람이 몇이나 될까?仙道를 이야기하는 사람은 많아도, 과연 단전을 살려내 제대로 축기(蓄氣)를 하며 건강하게 사는 사람은 드물다.일단 仙道를 시작했다면 단전호흡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복식호흡을 넘어서..

기(氣)가 잘 순환되어야 건강하다.기운을 안정적으로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호흡에 유의하고 부드러운 운동을 해야 한다.그리고 氣 흐름을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氣를 느끼지 못하면 축기(蓄氣)는 생각할 수가 없다.은행 잔액이 많아도, 본인이 몰라 쓸 줄을 모르면 아무 소용이 없듯이 말이다.무리하게 힘을 주며 숨이 차도록 움직이면 氣는 정체하고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해롭다.氣가 정체하기 때문이다.돈 관리를 잘해서 잔액을 늘려나가듯이 호흡과 운동을 통해 선천지기(先天之氣)를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호스 끼고 침상에 누워 죽을 받아 먹어가며 100살을 산들 무슨 유익이 있으리오.여든과 아흔이 되어도 남의 도움 없이 살아야 진정한 仙人이다.

선도(仙道)의 1번 과제는 건강이다.건강을 잃으면 모두를 잃기 때문이다. 선도를 따르면(지도에 따라) 무조건 건강해진다.막힌 기운이 열려 통하기 때문이다.그것을 통기(通氣)라 한다. 다음 순서는 축기(蓄氣), 즉 기운을 모으는 곳이다. 축기는 꼭 필요하다.왜냐하면 스트레스나 과로(잘못된 생활 습관) 등 기운을 낭비하며 살기 때문이다. 병(어떤 병이라도)의 원인은 기운의 정체되거나 부족 때문이다.그러므로 氣가 통하면 통기와 축기(어느 정도)만 되면 병은 사라진다. 단전(丹田)이 열리고, 축기에 이어 소주천(小周天)을 이루면, 자기 병은 물론 남의 병도 낫게 할 수 있다. 그것에 한계는 없다. 불치병이라도 상관이 없다. 그 기법은 마치 링거나 밧데리 충전하는 것처럼 기운을 상대에게 주입(注入)하는 것이다. ..

기(氣)를 모으는 것을 축기(蓄氣)라 한다.축기를 하는 방법은 운동(外丹功)과 호흡법이 있는데,운동이 문을 열어 氣를 끌어오는 법이라 한다면, 호흡법은 氣의 갈무리(저장)하는 것이다. 아무리 돈을 많이 벌어도 제대로 관리하는 법을 모르면 돈이 모이지 않듯이 바른 호흡법을 모른다면 아무리 氣를 많이 끌어온다 해도 소용이 없다. 氣를 끌어오는 운동은 천천히 균일하게 움직여야 한다.빠르고 힘을 쓰는 운동은 익(益)보다 손(損)이 크다. 태극기공(태극권) 보다 더 氣를 잘 끌어오는 운동은 없다. 적어도 30살 이후부터는 氣 관리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氣가 급격히 고갈되는 전환점이기 때문이다. 蓄氣를 위한 바른 호흡법은 필히 의식(意識)이 가미되어야 한다.처음엔 복식호흡(腹式呼吸)으로 시작해 하복부 중앙에..

선도(仙道)를 가르치는 선생은 소주천을 목표로 지도해야 한다.소주천(小周天)을 신비주의가 아니며, 판타지도 아니다.소주천은 우리의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해주는 실질적 기능이기 때문이다. 혹시라도 소주천을 모르거나 백안시한다면 그 사람은 선도 선생으로서 자격이 없다. 소주천은 임맥(任脈)과 독맥(督脈)을 통관시키는 선도의 보물이다. 임맥은 오장(五臟: 간, 심, 비, 폐, 신)의 기운을 담당하고, 독맥은 육부(六腑: 담, 소장, 위, 대장, 방광, 삼초)의 기운을 담당하고 있다. 소주천은 각 장기(臟器)의 기 부족 해결과 함께 이상 항진을 조절함으로 누구라도 건강한 천수(天壽)를 누리게 해준다. 마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또한 확실하다. 첫째, 늘 안정된 마음 상태(깨어있음)를 유지하게 해준다. 둘째..

선도(仙道)에 입문하면 손에 흐르는 기(氣)를 알아차리는 것이 첫번째다. 그것은 공력(功力)이 아니므로, 누구라도 약간의 수련만으로 가능한 일이다. 손에서 氣를 느끼는 법은 필자의 졸저 "민정암의 氣" 서두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감각이 영 무디지 않은 사람이라면 그대로만 따라하면 누구나 성공한다. 고정관념을 버려라.손에서 氣를 느낀다면, 단전(丹田) 氣를 알아차리는 것도 어렵지 않다. 氣는 마음이 가는 곳을 움직이게 되어 있어서 단전(丹田)을 의식하는 것 만으로 氣는 단전에 자리잡게 되어있다. 그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단전 氣를 강조하는 이유는 단전에 氣를 자리잡게 하지 못하면 선도(仙道)는 더 이상 앞으로 나갈 수 없다.선도수련에서 단전축기(丹田蓄氣)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우리 몸 ..

선도(仙道) 수행은 장사하는 것과 같다. 월말 정산 후 돈이 남아 얼마라도 꾸준히 저축할 수 있다면,장사를 잘한 것이다. 우리는 타고난 에너지를 소모하며 살게 되어 있다.보충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여기저기 힘을 쏟으며 바쁘게 살았는데,단전(丹田)을 들여다보니 아직 에너지가 넉넉하다면 성공한 수행자이다. 에너지를 남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쓸데없는 욕심 줄이고, 늘 단전에 마음을 두고 살아라.하루 한 시간의 외단공(外丹功)이면 충분하다. 그것은 건강생활에도 유리하다. 물론 의수단전(意守丹田)은 기본이다.노느니 염불(念佛)한다고, 별일이 없다면 늘 단전을 주시(注視)하고 살라.남들이 무시하지 못할 것이다. 축기(蓄氣)가 충분하면 기운(氣運)이 움직이려 할 것이고,스승의 지도에 따라 주시하면, 소주천..

흡지호지(吸止呼止)란 숨을 마신 후 숨을 참고, 뱉은 후에도 그리한다는 말이다.그것이 숙달되면 폭발적인 힘을 얻게 된다고 믿었다.그것은 숨을 길게 멈추는 것(止息)은 차력(借力)을 하던 사람들이 주로 쓰는 호흡이다. 하지만 그것은 정신적, 육체적으로 심한 부작용이 있다.헛것을 보고, 헛소리를 듣게 되며, 결국 숨쉬기가 난조(亂調)하게 된다. 자연을 역행하였으니 당연한 결과다. 호흡에 무지하던 초기에 가르치던 호흡법이지만, 지금은 그들도 권하지 않는다.그 단체의 대표자(차력사)가 원인 모르게 급사했는데, 지식(止息)이 큰 원인이었다고 나는 생각한다. 단적으로 말해 축기(蓄氣)를 위해 가장 좋은 것은 지식이 아니라 태극호흡이다. 그것은 태극기공과 태극권에서 주로 쓰는 호흡으로, 들숨에서 하복 중앙에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