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유 (34)
谷神不死

가끔 "그때가 좋았어"라며 억압받던 그 시절이 더 좋았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그는 왕이 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오죽하면 그랬겠어, 술 때문이었다, 부인을 너무 사랑하기 때문이었다 말들은 많지만 말이다.무력으로 국회와 선관위를 장악하려 했던 그 행위가 정당하다고 이 추운 겨울에 거리에 나가 소리를 지르는 사람들이 있다.왕정(王政), 그리고 독일의 나치즘, 이탈리아의 파시즘, 일본의 군국주의를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이 나라에 아직도 있다.피를 그리 흘렸음에도 이 땅에 민주주의가 아직 뿌리를 덜 내렸단 말인가?왜 그런 일이 일어날까?기득권층이라면 또 모르겠지만, 없이 사는 민중(民衆)들이 왜 그들의 일에 동조할까?도무지 이해되지 않는다.자기 존중(尊重)이 없어서 그렇다고밖에는 생각할 수가 없다.독재는 폭군..

깨달은 사람은 자기가 깨달았다는 말 대신무엇이 깨달음인가에 대해서 누구에게나 납득되도록 간단히 말한다. 깨달음에 대해 명쾌하게 답하지 못한다면 그의 깨달음을 의심해도 좋다. 그는 우선 물질 우선주의에서 벗어나 단출하게 산다. 적게 일하고, 적게 소비하며 살기 때문에 늘 넉넉하다. 또한 외로움이나 우울과는 거리가 멀다. 늘 자기관조(自己觀照)에 시간을 쓰고 살기 때문이다. 소식(小食)을 하고 늘 기운 흐름에 관심을 두고 살지만 해야 하는 일, 꼭 필요한 일에는 힘을 아끼지 않는다. 늘 사물을 밝게 바라보며 산다.사물은 보는 눈에 따라 긍정적으로도 부정적으로도 보이기 때문이다. 그는 걸림이 없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삶을 산다.모든 것은 변한다는 이치를 알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사람에 대한 집착이..

내가 없이는 아무것도 없습니다.내가 있기에 세상이 있고, 아름다움도 있습니다.'나를 모른다(잃어버렸다)'는 사람이 많습니다.그것을 찾기 위해 세상을 등져야 한다는 사람도 있습니다.여기 이렇게 있는 '나'를 두고 말입니다.지금 여기 이렇게 알아차리고 있는 '이놈'이 내가 아니면 무엇이 '나'겠습니까?너무나 당연해 모두 관심조차 두지 않고 살지만 말입니다.나는 내가 있어서 행복합니다.내가 없으면 보아도 보는 것이 아니요, 들어도 듣는 곳이 아니요, 냄새도 없고, 맛을 알 수 없으며, 알아챌 수도 없습니다.왜 그(싯다르타)는 "나는 없다"를 주장했는지 짐작은 합니다.그의 주제는 '괴로움(苦)'이었습니다.그는 남들과 달리 병듦과 죽음이 두려웠고, 그것이 큰 고통이었습니다.죽음은 모든 것을 수포로 만들어 버리기 ..

소주천(小周天)이 되고 나면 면역력이 크게 강화된다.웬만한 병은 이기게 되고, 혹 침범당한다고 하더라도 곧 회복한다.병이란 氣만 통하면 힘을 잃기 때문이다.하지만 소주천이 하는 일은 그것만이 아니다.소주천은 우리의 존재 중심(주체)이 무엇인지를 알게 한다.인간은 정기신(精氣神)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숨 쉬며 살고 있는 한, 몸(精)을 무시할 수는 없다.하지만 바른 눈이 되고 나면, 몸은 내가 아니며, 마음도 내가 아님을 본다.그다음부터는 신선(神仙) 같은 걸리지 않는 삶을 살게 되는데, 소주천이 단단한 에너지(氣)로 밑을 받쳐주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돈을 밝히는 이유는 자기과시 때문이다.가난을 수치스러워하는 이유는 그것이 자기에게 상처를 준다고 착각하기 때문이다.하지만 호화로운 집에 살고, 고급 승용차를 탄다고 해서 자존(自尊)이 커지는 것은 아니다.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부자를 부러워하는가?'부자의 자존감은 일반인보다 훨씬 더 클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현자(賢者)는 억지로 부자가 되려 하지 않으며, 가난을 수치로 생각지 않는다."내일에 대한 걱정 때문에 돈을 모은다"고 사람들은 말한다.그들은 그것을 위해 오늘을 즐기지 못한다.하지만 내일은 오지 않는다.내일은 또 다른 오늘일 뿐이다.지혜로운 이는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는다.그는 자존(自存)을 알아차리는 일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그는 소박한 음식과 수수한 옷에 만족한다.그의 존재감은 소..

당신의 삶이 감옥 생활처럼 느껴지지는 않는가?만약 그렇다면 당신에게는 수행자 자질이 있다. 여기 무슨 죄를 지었는지 영문도 모른 채 종신형을 받고 투옥된 사람들 무리가 있다. 그곳에선 필요한 먹을 것, 입을 것이 제공되고, 잘하면 약간의 돈도 저축할 수 있고, 복역 연수에 따라 금빛 완장과 지위(地位)도 주어진다. 하지만 거기 있는 사람 모두, 숨을 쉬는 한 아무도 그곳을 빠져나갈 수는 없다고들 믿는다.감옥 안이지만(감옥 안이어서 더 그렇겠지) 비논리적인 신앙에 빠진 사람이 대부분이다.게다가 요즘엔 과학(科學)이라는 신종 신앙도 생겨났다. 그런데 그곳을 살아서 빠져나가는 방법이 있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대부분은 헛소리라고 믿지 않을 것이지만 말이다. 담장 바깥세상을 보고 살아 돌아온 사람을 직접 ..

사람은 마음속에 각인된 대로 따라 사는 습성이 있다.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마음속에 무엇을 심을 것인가이다.각인의 방법은 "반복적 입력(入力)"이다.사람의 마음은 반복되는 것을 진실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마음속에 무엇을 심을 것인가는 전적으로 당신의 선택이다.평화와 안정을 심을 수 있으며, 공격성과 불안을 자리 잡게 할 수 있다."나는 있다"고 믿을 수 있으며, "無我(나는 없다)"를 신앙할 수도 있다."신선(神仙)"의 삶을 심을 수 있으며, "일체개고(一切皆苦)"를 믿을 수도 있다."미래의 행복"을 믿을 수 있으며, "결국은 불행해지고 말 것이다"를 믿을 수도 있다.믿음에 의해 말과 행동은 달라진다. 그 모든 것은 당신의 자유다.

돈과 권력이 자유를 주는가?자본주의, 민주주의가 자유를 주는가?그렇게 생각한다면.. 잘못 생각한 것이다.주변에 많은 돈을 가진 사람, 권력을 가진 사람을 보라.겉으로 보기에 그들이 그럴듯할지 모른다.하지만 그들의 삶을 깊이 들여다보면 자유와는 거리가 있다는 것을 안다.돈과 권력 때문에 생기는 부자유가 훨씬 더 많다.결코 돈과 권력이 자유를 주지는 못한다.우리는 먹고 싶은 것, 갖고 싶은 것, 그리고 가고 싶고, 누리고 싶은 것이 마음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때 부자유를 느낀다.정상적인 사고의 사람이라면 돈 10억이 없어서.. 국장 승진에 밀려서.. 낙선 때문에 부자유하지 않다.돈을 말한다면, 우리에게 필요한 액수는 너무나 적다.자유를 위해, 높은 지위나 잘 지어진 집이 필요하지는 않다.그런 것이 갖추어져야 ..

예수는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도록 간단하게 이야기한다. 그것이 많은 지식인이 예수를 따르는 이유다. 예수처럼 '해탈(자유)'을 쉽게 이야기한 사람은 없다.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요한복음 8:32) 그리고 진리에 대해서도 내가 바로 진리라고 했다. 내 안에 모든 것이 있기 때문이다.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 (요한 14:6)

큰돈을 벌고 싶은 사람은 그것으로 할 뚜렷한 좋은 일이 있어야 한다. 지니고만 있는 돈은 내 돈이 아니다. 돈은 쓸 때 비로소 내 돈이 되는 것이다. 막연하게, "돈이 많이 있으면 좋지!", "그것으로 무엇을 할지는 돈을 벌고 나서 생각해도 돼"라는 생각하는 사람에게 큰돈은 오지 않는다. 그런 사람은 돈의 노예가 되어, 벌어도 벌어도 더 벌어야 하는 강박감 속에 산다. 그는 늘 이것저것에 쫄리면서 산다. 목적이 돈이기 때문이다. 인색하게 살면 늙어 집 한 채는 지니고 살 수 있다. 하지만 죽도록 가난은 그의 친구다. 돈은 벌릴 때가 있고 나갈 때가 있는데, 그것을 알면 편안하다. 수중에 필요한 돈이 어느 정도만 있다면, 늘 베푸는 마음이어야 한다. 그런 태도가 돈을 부른다. 돈이 한창 벌릴 때는 돈 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