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단전호흡 (43)
谷神不死
단전(丹田)을 말하는 사람은 많지만단전을 아는 사람, 실제로 단전이 작동되는 사람은 희귀하다. 단전은 하복부 중앙에 위치한 신비한 기관으로 단전호흡을 한다는 것은 단전이 호흡을 주도한다는 말이다. 단전은 선천지기(先天之氣), 즉 생명이 머무는 자리다. 관리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단전이 열리면 첫째, 피로 회복이 쉽다.기운이 흐르면서 노폐물들을 신속히 배출해 주기 때문이다. 단전이 활성화되면 자연스럽게 생기(生氣)를 받아들이게 되어 자연스럽게 늘 좋은 컨티션이 유지된다. 스트레스를 좋은 쪽으로 활용하게 되고,긍정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하게 된다. 외부 환경에 유연해져 면역력이 강해져 병이란 에너지의 난조에서 생기는 것이다.단전이 힘을 얻으면 병에 걸리더라도 쉽게 회복한다. 시야가 넓어져 사소한 것에..
왕 대나무 뿌리에서는 왕대가 나고, 시누 대 뿌리에서는 시누 대가 난다. 성(誠)을 다해 공부를 하면 단전호흡(丹田呼吸)을 할 수 있게 된다.하지만 노력만으로 단전호흡이 되는 것은 아니다. 오랜 기간 복식호흡(腹式呼吸)을 했지만, 단전호흡 맛을 못 본 사람이 너무 많다.대부분이 그러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것은 내가 칠십 평생을 통해 사람들을 보면서 경험한 일이다. 섭섭한 말이지만, 꾸준함이 없이 하다 말다 한 사람들은 예외로 하고 말이다. 반복해 이야기했듯 복식호흡과 단전호흡은 다르다.복식호흡은 배로 하는 호흡이고, 단전호흡은 단전이 작동하는 호흡이다. 단전호흡이 없이 선도(仙道)는 어렵다.단전호흡을 시작으로 소주천(小周天), 태식(胎息), 양신(養神)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단전호흡을 하려면..
선도(仙道)는 단전호흡(丹田呼吸)으로 시작하고, 마무리 짓는다.단전(丹田)을 모르고 선도(仙道)를 말할 수는 없으며,단전호흡을 모르는 선도는 일반 건강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복식호흡(腹式呼吸)과 단전호흡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 복식호흡과 단전호흡은 전혀 다른 것이다. 반복해 말하지만, 하복부를 사용하는 호흡을 복식호흡이라 하고,단전을 사용해서 호흡해야 비로소 단전호흡이다. 즉, 기운을 밀려 들어올 때 단전이 부풀어 오르고,기운이 수렴(축기)될 때 단전도 수축하는 호흡이어야 한다. 보통 호흡(복식호흡 포함)과 단전호흡은 횡격막이 반대로 움직인다. 보통은 숨을 들일 때 횡격막이 밑으로 팽창하고, 숨을 내쉬면 횡격막이 위로 움직여 제자리를 찾게 되어있다. 하지만 단전호흡은 반대다. 단전호흡은 폐가 아..
흡지호지(吸止呼止)란 숨을 마신 후 숨을 참고, 뱉은 후에도 그리한다는 말이다.그것이 숙달되면 폭발적인 힘을 얻게 된다고 믿었다.그것은 숨을 길게 멈추는 것(止息)은 차력(借力)을 하던 사람들이 주로 쓰는 호흡이다. 하지만 그것은 정신적, 육체적으로 심한 부작용이 있다.헛것을 보고, 헛소리를 듣게 되며, 결국 숨쉬기가 난조(亂調)하게 된다. 자연을 역행하였으니 당연한 결과다. 호흡에 무지하던 초기에 가르치던 호흡법이지만, 지금은 그들도 권하지 않는다.그 단체의 대표자(차력사)가 원인 모르게 급사했는데, 지식(止息)이 큰 원인이었다고 나는 생각한다. 단적으로 말해 축기(蓄氣)를 위해 가장 좋은 것은 지식이 아니라 태극호흡이다. 그것은 태극기공과 태극권에서 주로 쓰는 호흡으로, 들숨에서 하복 중앙에 기..
'유기(留氣)'란, 끌어들인 기운을 丹田에 머무르게 한다는 뜻이다. 이것을 숨을 멈추는 것으로 오해해서는 안 되며, 호흡 간에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해야 한다. 유기를 바르게 하기 위해서 태극 호흡을 연습하면 좋다. (졸저 민정암의 氣 참조) 날숨이 제대로 되면 들숨은 신경 쓸 필요가 없다. 호흡은 한 벌이기 때문이다. 단전호흡이 무르익으면 날숨(내쉬는 숨) 때 반(半) 역호흡이 되면서, 단전 상단에 쳐진 그물이 진기(眞氣)를 붙잡아 가두게 된다. 그것이 태극 호흡이다. 용호결에서는 폐기(閉氣)라 하였지만, 머무를 유(留)자를 사용한 쓴 것에 유의해야 한다. 유기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 호흡과 동작이 콤비를 이루는 외단공(태극15세)을 배우면 효과적이다.
단전호흡을 하노라면,결국은 순수의식(純粹意識), 그리고 모이고 흩어지는 에너지만 남는다. 그것을 우리는 '단전 삼매'라 부른다. 거기엔 감정(感情)도, 본능(本能)도 숨어버리고, 의식과 에너지의 집합체만 남는데 우리는 그것을 '양신(陽神)'이라 부른다. 그것이 선도(仙道)가 추구하는 바다. 거기까지 이르려면, 우선 단전(丹田)을 알아야 하고, 축기(蓄氣)를 할 줄 알아야 한다. 축기가 되기 위해서는 일심(一心)의 지난(持難)한 세월이 필요한데,그것을 단축해 주는 것이 '외단공(外丹功)'이다. 외단공이 기운을 끌어 모아주면 축기가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축기가 되지 않고는 소주천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고 소주천이 되지 않고는 양신을 할 수가 없다. 순서를 말한다면 단전, 축기, 소주천 그리고 양신이..
이 몸은 '내'가 아니며, 생각도, 느낌도, '나'는 아니다.엄밀히 말한다면, 그것들을 알아차리고 있는 신비한 '무엇'이 '나(자아)'이다.하지만 '그것만을 나'라고 해서는 안 된다.알아차림 역시 대상, 그리고 에너지(氣)와 함께 존재한다. 그리고 에너지의 작용이 없으면, 알아차림도, 대상도 없다.선도(仙道)에서 氣를 중요시하는 것은 그런 이유이다.선도의 핵심은 알아차림(神)과 에너지(氣)의 계합이며, 거기서 우리는 무너짐이 없는 영적 존재, 에너지체를 만난다.그것을 가리켜 양신(陽神)이라고 하며, 그것이 지구에 사는 우리의 마지막 공부이다.처음 공부는 당연히 단전호흡이고...
선도(仙道)는 단전호흡(丹田呼吸)으로 시작하고, 마무리 짓는다.단전(丹田)을 모르고 선도(仙道)를 말할 수는 없으며,단전호흡을 모르는 선도는 일반 건강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복식호흡(腹式呼吸)과 단전호흡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 복식호흡과 단전호흡은 전혀 다른 것이다. 반복해 말하지만, 하복부를 사용하는 호흡을 복식호흡이라 하고,단전을 사용해서 호흡해야 비로소 단전호흡이다. 즉, 기운을 밀려 들어올 때 단전이 반응해 부풀어 오르고,기운이 수렴(축기)될 때도 단전이 반응하는 호흡이어야 한다. 보통 호흡(복식호흡 포함)과 단전호흡은 횡격막이 반대로 움직인다. 보통은 숨을 들일 때 횡격막이 밑으로 팽창하고, 숨을 내쉬면 횡격막이 위로 움직여 제자리를 찾게 되어 있다. 하지만 단전호흡은 반대다. 단전호흡..
몸과 마음이 내가 아니란 것을 이해했다고, 그것을 깨달음이라 해서는 안 됩니다. 외로움, 우울함, 그리고 불안감에 자주 휩쓸린다면... 또한 ‘인정받음’에 우쭐하고, ‘인정 못 받음’에 마음이 흔들린다면, 아직 갈 길이 멉니다. 시각(視覺)이 늘 내면을 향해 있어야 합니다. 멍하게 있어서는 마음에 속아 넘어갈 수밖에 없습니다. 선도(仙道)는 의수단전(意守丹田)을 강조합니다. 그것은 단순히 기운을 모으는 것에 그치지 않으며, 시각을 내면으로 향하게 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의수단전은 마음이 단전(丹田)에 모이게 하는 것입니다. 그것을 위해선 우선 단전을 잠에서 깨어나게 해야 합니다. 막연한 것에 우리 시선을 향하게 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복식호흡(腹式呼吸)을 단전호흡(丹田呼吸)이라고 오해해..
인간에겐 두 개의 에너지 루트 체계가 있다. 그 하나는 심장이요, 다른 하나는 단전(丹田)이다. 심장은 후천지기(後天之氣)를 움직이는 센터요, 선천지기(先天之氣)의 센터는 하단전이다. 생명은 하단전에서 시작하지만, 폐로 호흡이 옮겨가면서 기운의 중심도 심장으로 옮겨가는데, 그때부터는 선천지기와 멀어진다. 수행이란 선천지기를 깨어나게 하는 것이다. 그래야만 생명의 근원 자리인 본래면목과 마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에너지의 원동력은 하단전에 자리 잡고 있다. 선도를 닦으려면 소주천이 필수적이지만, 먼저 단전의 기능부터 회복시켜야 한다. 선천지기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단전의 재가동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단전을 가동하지 않고, 단순히 의념만을 사용하는 소주천을 공차(空車)라 한다. 그것만으론 에너지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