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일상 속 바라봄 (634)
谷神不死

사람은 누구나 자기는 옳고, 상대는 틀렸다고 믿고 있다.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모두 그렇다.하지만 상대의 틀림을 알았어도 그것을 지적해서는 안 된다.친구가 되고 싶지 않거나, 여태 쌓은 그와의 친분에 금이 가게 하고 싶지 않다면 말이다.그 이유는 상대 역시 자기가 옳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논쟁하지 말고, '나는 그리 생각한다'라고만 조용히 말하라.당신의 옳다는 것을 증명할 만한 객관적 증거를 살짝 내비칠 수는 있다.하지만 상대가 틀렸다는 말은 하지 말아야 한다.논쟁에 이기면 다소 후련할지는 몰라도, 그것은 친구가 될지도 모를 사람 하나를 잃는 것이다.끝까지 그는 자기가 틀렸음을 시인하지 않을지 모른다.하지만 추궁하지 말라.그것이 논쟁에서 이기는 법이다.

큰돈을 벌고 싶은 사람은 그것으로 할 뚜렷한 좋은 일이 있어야 한다. 지니고만 있는 돈은 내 돈이 아니다. 돈은 쓸 때 비로소 내 돈이 되는 것이다. 막연하게, "돈이 많이 있으면 좋지!", "그것으로 무엇을 할지는 돈을 벌고 나서 생각해도 돼"라는 생각하는 사람에게 큰돈은 오지 않는다. 그런 사람은 돈의 노예가 되어, 벌어도 벌어도 더 벌어야 하는 강박감 속에 산다. 그는 늘 이것저것에 쫄리면서 산다. 목적이 돈이기 때문이다. 인색하게 살면 늙어 집 한 채는 지니고 살 수 있다. 하지만 죽도록 가난은 그의 친구다. 돈은 벌릴 때가 있고 나갈 때가 있는데, 그것을 알면 편안하다. 수중에 필요한 돈이 어느 정도만 있다면, 늘 베푸는 마음이어야 한다. 그런 태도가 돈을 부른다. 돈이 한창 벌릴 때는 돈 쓸 ..

의사들이 쓰는 'Type A personality'라는 말이 있다. 완벽함을 바라는 마음에 조급하고 안절부절못하는 경향의 사람, 불안을 이기지 못하고 자기중심적이고 배려심이 없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장점으로는 일을 만났을 때 추진력이 남다르다는 것이지만, 자기 건강에는 아주 불리해서 신경정신과적 질환과 심근경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한국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빨리빨리"였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지만, 이젠 먹고살 만하니 단순히 빨리빨리 만이 능사는 아니라고 본다. 자살률이 세계 최고이고 행복지수가 낮은 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일을 진행할 때 장애가 생기는 것은 한 템포 늦춰 주라는 사인(Sign)이다. 무작정 밀어붙이다 보면 득보다 실이 크다. 고지는 점령했을지 몰라도 너무 많은 희생이 따른다. ..

자신감을 끌어내려면, '출처'를 알아야 한다. 먼저 자기가 주인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주인 의식이 없이 자신감(Confidence)은 나오지 않는다. 불안의 이유를 알아내야 한다. 자신감을 위해선 먼저 불안부터 잡아야 한다. 불안이 자신감의 적이다. 누구나 어떤 부분에서든 자신감은 있는 법이다. 우선 작은 성취에서부터 시작하자. 성취가 축적되면 그것이 자신감으로 나타난다. 작은 물줄기가 모여 시내가 되고, 강이 된다. 작은 성취가 반복될 때, 그것이 움직일 수 없는 자신감이 된다. 자신감은 도전하는 마음에서 출발한다. 도전이 없이 성공은 없다. 지레 겁먹지 말자. 밑져야 본전이란 마음으로 당당히 도전하자. 내가 주인이라는 것을 잊지 말자. 자신감은 주인의식으로부터 나오니 말이다.

생각을 없앤다고 그저 멍때리고 있어선 안 된다. 그것은 나태함만 만들 뿐이다. 생각을 지켜보라. 생각의 조절을 위해 우선 지켜볼 수 있어야 한다. 생각을 조절해야 하는 이유는 유용한 생각을 일으키기 위함이다. 고요히 하복부(丹田 자리)를 지켜보다 보면 잡생각들이 사라지고, 단순한 지켜봄만 남게 된다. 그것이 나를 성공시키는 첫걸음이다. 모든 일은 생각으로부터 시작된다. 그것이 집중을 낳고, 의지를 일으킨다. 그것은 당신을 일으켜 세울 수 있으며, 가라앉게 할 수도 있다. 생각을 지켜본다는 것은 당신이 생각의 주인이 된다는 것이다. 도움이 되지 않는 생각들을 사라지게 하고 유익한 생각들을 키워나갈 때 당신의 발걸음은 성공을 향한다. 인생은 단 한 번뿐이다. 그리고 한 생각이 인생을 바꾼다. 당신을 성공자로..

천 리 길도 한발부터라는 말이 있다. 큰 성과가 아니라도 일정의 성과가 있다면 스스로 뿌듯해하라. 그것이 동기부여가 되어 더 큰 성취의 원동력이 된다. 하지만 타인에게는 가급적 말하지 말라. 남의 자랑을 듣고 좋아할 사람은 흔치 않다. 누가 뭐라 하든 꿋꿋할 수 있는 힘을 기르라. 부정적인 평가는 의기소침을 유발할 수 있다. 반면 타인의 일에는 조그만 진전이라도 호의적으로 조용히 끄덕여 줘라. 가식적인 칭찬보다 그런 모습이 훨씬 그를 고양시킨다. 큰 목표는 가슴 속에 묻어두고, 일주일 혹은 한 달 단위로 조그만 진전이 있어도 스스로 뿌듯해하라. 성취가 아직 미미하더라도, 가는 방향만 정확하다면 성취는 시간문제이기 때문이다. 타인의 자랑질을 보아도 시큰둥하거나 비웃지 말라. 그가 내게서 떠나는 것을 바라지..

돈도 지나가고, 권력도 시든다. 남는 것은 자기 자신뿐이다. 돈과 권력에 소중한 시간을 모두 뺏기고, 텅 빈 자기만 남긴다면 삶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시간 예산을 잘 세워야 한다. 시간은 저절로 생기지 않는다. 그것 역시 돈을 주고 사야 한다. 통찰력이 있는 사람은 최소 20%의 시간을 몸과 마음에 투자한다. 몸과 마음을 끌어내 돈과 권력에 투자하면 돈이 모이고 권력을 얻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얼마 안 가서 크게 후회한다. 인생의 재미를 봐야 할 시간에 침대에 누워 천장만 바라보게 된다.

아침에 잠에서 깬 직후 아이디어(idea)가 일어나면 꼭 기록을 해두어야 한다. 다음으로 미루면 연기처럼 사라지고 만다. 생각 너머에서 알려주는 행운이기 때문이다. 잠들기 직전, 당면한 문제해결을 위한 Solution 구하기를 늘 마음속에 심는 습관을 들이라. 잠재의식을 믿는다면 답이 있을 것이다. 기록하기를 습관화하라. 그것이 성공의 원동력이다. 성공하는 사람은 기록을 100% 활용한다. 스마트폰의 용도가 전화 걸고 받기만은 아니 다. Idea가 떠오를 때나 문제 해결책이 떠오를 때, 지체하지 말고 휴대전화에 메모하라. 성공은 멀리 있지 않다. 간단한 Idea 하나가 큰 돈을 벌게 하고, 곤경에서 벗어나게 한다. 수행자도 마찬가지다. 공부가 엉켰다면 기록을 통해 실마리를 찾아보라. 내가 실행하고 사는 ..

불안감은 도망가거나 싸워야 할 필요, 또는 변신해야(바뀌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몸과 마음이 나에게 주는 암시(sign)이다. 세상을 살자면 기피하거나, 싸우거나, 변신해야 할 때가 있기는 하다. 하지만 그럴만한 일이 일어나지 않았는데, 뇌와 감정의 오류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 불안감이 일어나면 과연 도망하거나 싸워야 할 필요가 있는지 마음(상황)을 깊이 관찰하여야 한다. 대부분 '뜬금없다'라는 답이 나올 것이다. 잘못된 심적(心的) 습관 때문에 생긴 일일 가능성이 크다. 그럴 땐 조용히 호흡을 지켜보라. 호흡이 어떤 상태를 유지하는지, 빠른지 불규칙한지... 1분 정도만 호흡에 집중(attention)하다 보면 호흡이 안정을 찾으면서 언제 그랬느냐는 듯 불안감 역시 사라지고 말 것이다. 마음에 속지 ..

누군가에게 어떤 친절을 베풀었다고 하자. 하지만 그가 나의 친절을 몰라줄 때도 계속해서 그에게 친절할 수 있는가? 배려심(配慮心)이란, 누군가를 “도와주거나 보살펴 주려는 마음”이다. 하지만 사람이란 누구나 자기가 한 일에 대해 보상을 바라게 되어있다. 보상은 고마워한다는 간단한 표정으로 충분하다. 하지만 그가 나의 베풂에 대하여 당연하다고 생각하거나 타박한다면, 당신은 마음을 상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배려심이란 좋은 것이다. 하지만 그것으로 좋았던 관계가 나빠질 수도 있음을 기억하라.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 하였다. 지나친 친절(말)은 삼가자. 다만 혹시라도 친절을 베풀고 싶다면, 단지 친절만 베풀자. 보상을 바라는 친절은 친절이 아니다. 보상은 바라지 않고 그에게 친절을 베풀었다고 말하지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