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和光同塵 (572)
谷神不死
仙道의 命 수련은 통기(通氣) - 축기(蓄氣) - 운기(運氣)의 순서로 진행한다. 그것은 연기화신(鍊氣化神), 즉 氣의 연단(鍊鍛)을 통해 神(靈知)이 氣의 主人이 되는 과정이다. 肉體나 精神은 에너지(氣)의 도움을 얻어야 기능(機能)하게 되어 있는 구조라서, 독자적으로는 존재조차 유지할 수 없다. 그러므로 通氣와 運氣가 받쳐주지 못하면 精神은 그냥 블랙홀(black hole) 속으로 사라져 버릴 수 밖에 없다. 仙道는 神仙을 회복하는 공부이며, 그것은 佛家의 보살(菩薩; bodhisattva)과 같이 열반(涅槃)이 아니라 해탈(解脫)이 주목표다. 죽은 후 氣의 통제권을 잃은 靈(神)은 마치 動力을 잃고 조종 키마저 놓쳐버린 선박(船舶)과 같다. 선장이 아무리 능력이 있어도 속수무책일 수 밖에 없다. 육..
깨달음을 얻기 위해 선정(禪定; samadhi)을 체험하는 것은 좋다. 하지만 선정이나 해탈(解脫; moksha)과 관계없이 깨달을 수 있다면 더욱 좋다. 선정과는 관계없이 늘 그 자리에 머물 수 있어야 완성된 깨달음(正見)이다. 스승과 같이 있을 때는 밝아진 것 같다가, 세상사에 복귀하면 다시 흐려진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꼼짝하지않고 고요히 앉아 있으면 그 자리가 느껴지다가, 시끄럽게 움직이면 그 자리가 사라져 버리고 풍진(風塵) 세상에 그대로 동화(同化)되어 버린다는 사람이 있다. "오매일여(寤寐一如) 화두(話頭)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 중이 있었다. 그리고 그 중에게 "양 대가리 걸어 놓고 개고기 팔고 있다"고 비난했던 중도 있었다. 그 자리는 쉼이 없으며, 잠을 자지도 않는다. 그러므..
도피안(到彼岸; paragate)이란, 반야심경(般若心經)에 나오는 말이며, 이쪽 세상(此岸)에서 저쪽 세상(彼岸)으로 이동하는 것(到)을 뜻한다. 도피안을 해야 하는 이유는 차안(此岸), 즉 지금 우리가 사는 세계가 불만족과 고통으로 꾸며진 세계이기 때문이다. 반면, 피안(彼岸)은 만족의 세계, 눈물과 고통이 사라진 세계이다. 거기엔 생사(生死)가 없으며, 모든 것이 갖춰져 있다. 하느님이 계시는 성스런 자리(本來面目)이기 때문이다. 그것을 도일체고액(度一切苦厄), 즉 해탈(moksha)이라 하며, 그보다 더 신령(神靈)하고 더 밝은 것이 없는, 무엇과도 비길 수 없는 최상의 것이라고 반야심경은 말한다. (是大神呪 是大明呪 是無常呪 是無等等呪) 도피안을 위해서는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성경신..
깨달았다(?)는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지금 여기에 살아라!"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그말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다. 속지 말라. 100% 헛소리다. 지금 여기에 살고 있지 않는 사람이 한 명이라도 있는가? 누구나 지금 여기에 살고 있지 않은가? 그런데 무슨 재주로 또 지금 여기에 살으란 말인가? 과거는 단지 메모리 속의 일편(一片)일 뿐이고, 미래는 일고(一考)의 가치가 없는 허깨비일 뿐이다. 존재하는 것은 오직 현재 밖에 없다. 그렇지 않은가? 말 같지도 않은 그런 말이 솔깃하게 들리는 이유는 무엇인가? 삶이 힘들고 괴로운 이유는 무엇인가? 간단하다. 있지도 않은 과거와 미래를 맥없이 현재화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 이런 저런 실수가 있었고, 누가 나한테 이런 말을 했고, 이런 저런 ..
태식(胎息)은 원초적인 "숨"을 말하며, 명(命)공부의 백미(白眉)이다. 그것은 견성(見性) 이후에도 필히 이어져야 할 공부다. 그것이 없으면 성명쌍수(性命双修)가 불가능하며 공부 길이 점점 더 혼란스러워지기 때문이다. 깨달음이 오고나면, 보이고, 들리고, 느끼고, 드러나는 것들(見聞覺知) 모두가 그 자리(本來面目)의 알아챔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그것만으론 아직 아니다. 그것들(견문각지)이 모두 한통속이기는 하지만, 따로 따로 기능하고 있어서 끊김과 이어짐이 늘 교차하고 있다. 항상 변함없이 이어지고 있는 것은 오직 숨(息) 뿐이다. 바로 생명(生命)자리이기 때문이다. 胎息이 꼭 필요한 이유는 그것이다. 태식은 내호흡(內呼吸)이며, 그것을 살려내면 따로 마음을 쓰지 않아도 저절로(無爲) 그 자리(本來面目..
개안(開眼)이란 혜안(慧眼)을 얻는 것이며, 그것을 이룬 후부턴 그 자리(本性)를 자유롭게 보면서 끄달림 없이 살게 된다. "천사의 말을 해도 사랑이 없으면 소리나는 구리"에 지나지 않는다는 말이 있듯, 만권의 책을 읽고 장좌불와(長座不臥) 백년을 한다 할지라도 開眼이 부족하면 회답이 없는 연애편지와 다르지 않다. "개장수를 하더라도 최소 개 목걸이 하나는 있어야 한다"는 말도 있다. 견성을 원하는 이에게 개목걸이는 개안이다. 필수적이란 말이다. 개 목걸이가 있어야 개를 끌고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시타르타는 위대하다. 그 이유는 깨달음이 없으면 오랜 세월 뼈를 깍는 노력도 결국 무소용이라는 것을 몸소 증명했기 때문이다. 깊은 선정과 설산의 고행도 그에게 자유를 주지 못했으며, 산을 내려와 몸을 추수리고..
정(定)이란 선정(禪定), 즉 고요함이며, 혜(慧)란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는 힘을 말한다. "구슬이 서 말이어도 꿰어야 보배"란 말이 있다. 선정(禪定)이란 다르게 말하면 회광반조(回光返照), 즉 외부로 치닫는 시선(視線)을 내부로 되돌리는 것이다. 그것을 위해 거창하게 멸진정(滅盡定)을 들먹일 필요는 없다. 그것을 위해선 옅은 선정이 더 유리하다. 깨우침은 일상(日常) 속에서 문득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깊은 선정이 불리하다. 촉(觸)마저 무디게 만들어 깜깜이가 되기 때문이다. 나는 정혜쌍수를 인기척을 느낄 때 작동되는 에스컬레이터에 비유하고 싶다. 늘 릴랙스(relax) 상태를 유지하고 있되, 늘 감각을 살려 놓으란 말이며, 일상(一相), 즉 진리를 향하는 일념(一念)이 일행(一行), 즉..
피리를 불어 보았는가? 피리는 바람을 불어 넣으면서 구멍들을 열고 막으며 음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음악을 연주하도록 구조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구멍들을 열면 낮은 음이 나고 구멍을 많이 막을수록 높은 음이 나오지만, 공기 주입구에서 먼 곳을 막으면 낮은 음이 나오고 가까운 곳을 막으면 높은 음을 낼 수 있다. 선가(仙家)에는 "공부(功夫)가 무르 익으면 구멍없는 피리를 불게 된다"는 말이 있다. 입문(入門)하여 축기가 어느 정도(百日蓄氣) 되면 단전(丹田)이 깨어나게 되며, 그때부터는 단전으로 호흡을 하게 된다. 단전호흡은 숨을 들이고 낼 때 단전에 에너지(氣)를 축적시키는 호흡으로, 단순한 복식호흡과는 내용이 전혀 다르다. 단전호흡에 정성을 들여 호흡의 안정을 이루게 될 즈음 소주천(小周天)이 일어나게 ..
佛家의 공적(空寂)을 仙家에선 허(虛)라 칭한다. 虛(空)는 텅 비어 있기도 하고, 가득 차 있기도 한 근본적 자리이다. 그곳으로부터 "알아차림"과 만유(萬有)가 출현한다. 그 알아차림(作用)이 없이는 하늘 땅은 물론 하느님도 존재할 수 없으므로, 老子는 그것을 가리켜 "하느님(上帝) 보다 먼저"라 하였다. 알아차림을 통해 우리는 눈에 보이고, 귀에 들리고, 느껴지는 모든 것(있음)을 확인하며, 만유의 연기성(緣起性)을 알게 되는데, 그것을 초견(初見)이라 한다. 마침내는 그 알아차림의 근원자리인 虛(空寂)와 완벽한 계합(契合)을 하게 되는데, 그것을 가리켜 확철대오(確徹大悟)라 한다. 깨달음이란 앞에서 언급했듯,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를 알아챈 것이며, 그것은 어렵지 않다. 헐떡이는 마음을 조금만 가라..
佛家의 공부는 공도리(空道理)를 깨우치는 것이라 한다. 굳이 색즉시공(色卽是空)이나 범소유상 개시허망(凡所有相皆是虛妄) 같은 경전 말씀을 채용하지 않더라도 착(着)을 버리는 순간, 우리는 오온(五蘊)이 空함을 체험하기 때문이다. 仙家의 공부를 佛家 입장에서 본다면 着을 버리지 못하는 공부다. 바탕은 虛(空)함에서 시작하나, 여전히 色의 세계를 즐기며 살고있기 때문이다. 佛法의 見性은 간단히 말해 性品을 보는 것이요, 누구나 알고자 하기만 하면 단박에 깨우치는 공부라면, 비록 깨우침이 있었다 할지라도 여전히 몸과 마음을 놓지 못하는 공부가 仙法이다. 공도리를 깨우치기 위해선 어떠한 노력도, 수련도 필요하지 않다. 그것은 여기 이대로 완벽하게 있는 것이 '그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仙家의 경우 비록 깨달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