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Taiji Yoga/3. 깨달음 (Enlightenment) (81)
谷神不死
깨달음을 얻기 위해 온갖 희생을 감수하고 간신히 뒷다리(?)라도 잡았다고 생각했는데, 그것 역시 헛것(相)에 지나지 않는다니 막막하게 되었습니다. 금강경 역시 "모든 相은 허망하다(凡所有相皆是虛妄)"라 하고 있으니 이 노릇을 어찌합니까? 깨달음은 눈으로 눈을 보는 것이며, 물속에서 물을 찾는 것과 같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상(相)을 기대해서는 실망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견문각지(見聞覺知)를 무시하고 깨닫는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고, 들을 수 없는 것을 듣고, 느낄 수 없는 것을 느껴야 깨닫습니다. 보되 눈으로 보지 않고, 듣되 귀로 듣지 않고, 느끼되 몸으로 느끼지 않으면서... 알음알이를 몽땅 내려놓았을 때, "나 여기 있소"하고 나타나는 것이 견처(見處) ..
현재 의식과 잠재의식에 대해선 별외(別外)로 하고, 사람들은 의식(意識)을 보통 두 가지로 생각합니다. 하나는 "깨어있는 상태에서의 자기나 사물에 대한 인식작용"이며, 다른 하나는 "사회적 역사적으로 형성되는 사물에 대한 개인이나 집단의 감정이나 견해"라고 사전은 정의합니다. 하지만 의식은 그저 의식일 뿐, 그리 복잡하지는 않습니다. 첫째, 의식은 정화(淨化)하려 하거나 상승(上昇)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정화하려 하거나 상승시키려 하면 오히려 오염되거나 길을 잃어버리기 때문입니다. 의식은 자체 정화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손댈 필요 없이 그대로 두면 순수해집니다. 그것을 지(止)라고 하며, 그때 정화는 최고조에 달합니다. 止의 상태가 되면 의식은 순수성을 되찾게 되고, 수행자는 그것을 알아채게 ..
깨달음을 얻으려면 스승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그가 지시하는 대로 따르기만 하면 된다. 거기엔 어떠한 학문적 이론(理論)은 필요하지 않으므로, 알음알이(지식)라는 것도 전혀 필요하지 않다. 만약 깨달음에 관해 책에서 읽었거나, 누구로부터 전해 들은 것이 있다면, 모두 삭제해 버려라. 티끌 만한 것이라 할지라도 그 잔재가 남아 있다면 그것이 당신의 깨우침에 큰 장애가 될 수 있다. 5살 어린이든 90객의 노인이든, 남자든 여자든, 아무 상관이 없다. 그저 스승의 말을 알아듣고 그대로 따르겠다는 발심(發心)만 있으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사람은 이미 깨달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누군가에게 깨달음을 전하려 한다면 다른 학문에서 그러는 것처럼 바른 이해와 함께 현재 통용되고 있는 깨달음의 용어들도 숙지하고 있..
공부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견성(見性) 즉 깨달음 공부이고, 다른 하나는 에너지(氣) 공부입니다. 깨달음 공부가 가장 쉽습니다. 따로 할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깨달은 사람에게 궁금한 것을 묻다 보면 저절로 깨닫게 됩니다. 누구나 이미 깨달아 있기 때문입니다. 에너지 공부는 갈고 닦고 쪄내는 공부인데, 그것도 두 가지로 분류합니다. 첫째는 힌두 계열 차크라, 쿤달리니 공부인데, 이것은 선천지기 공부이므로, 선정(禪定)에 얼마나 들어있느냐로 판가름 납니다. 두 번째가 선도(仙道) 공부인데, 이 공부는 선천지기(先天之氣) 반, 후천지기(後天之氣) 반으로 균형을 잡아 진행합니다. 타고난 기운인 선천지기는 어른이 되는 과정에서 상당 부분 훼손(毁損)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선도는 축기(蓄氣)를 아..
바로 진여(眞如)를 볼 수 있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렇지 못하다. 그 이유는 정신 이완(mental relaxation)이 부족해서다. 명상(冥想)이라는 이름의 모든 노력들은 사실상 방하착(放下着), 즉 정신 이완을 위해서이다. 이완(relaxation)이 충분치 못하면 眞如를 보기 위한 조건이 만들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거의가 흉내 내기 선수이기 때문에 왜 방하착(放下着)을 해야 하는지조차 모른다. 제대로의 정신 이완을 위해서는 육체 이완(body relaxation)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육체와 정신은 따로따로가 아니다. 육체의 이완은 그대로 정신 이완으로 이어진다. 선도(仙道)에서 외단공(外丹功)을 통해 골반을 조정하고, 관절들을 유연하게 만드는..
상대의 말과 행동이 다소 나와 다르다 해도 용인해야 합니다. 게다가 그가 마이크를 잡고 있는 동안은 그의 시간입니다. KOREA가 반 토막 났다고 걱정하는 사람도 많지만, 역사 이래 진정으로 "하나"이었던 시절은 아주 짧았습니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아마도 사상이나 신앙일 겁니다. 그것에 한 번 빠지면 그것 외에는 모두 무시하려 들기 때문입니다. 정치도 신앙의 일종인가 봅니다. 그리도 소통되지 않으니 말입니다. 인간의 정신세계는 묘(妙)하고도 또 묘합니다. 많이 배운 사람이든 적게 배운 사람이든 한번 "옳다"에 빠지고 나면 합리(合理)를 내려놓습니다. 뻔히 그 길로 가면 파탄이 나는데도 말입니다. 혹시라도 중도(中道)를 이해한다면 해결이 쉽습니다. 中道는 중간에 서는 것이 아니라, 左右를 모두 내려놓..
싯다르타가 보리수나무 밑에서 깨달은 것은 이 마음과 몸이 내가 아니란 것이었습니다. 그동안 고생 고생했는데 그것 하나 깨우친 것으로 고통(苦; suffering)이 모두 사라져 버렸습니다. 그것을 사성제(苦執滅道)라고 합니다. 이어서 팔정도(八正道)를 자연스럽게 이루게 되었습니다. 그것이 바른 견해(正見), 바른 사유(正思惟), 바른 말(正語), 바른 행위(正業) 등등 여덟 가지입니다. 팔정도는 애써서 되는 것이 아닙니다. 이 몸과 마음이 내가 아니란 것만 확실히 알게 되면 저절로 이루어지는 겁니다. 어떤 방편을 쓰는가는 중요치 않습니다. 어렵지도 않습니다. 그치고(止) 보기만(觀) 하면, 자연히 깨치는 것이니 말입니다.
깨달으려면, 먼저 그대 자신에게 물어보라. 나는 진정으로 깨닫고자 하는가? 마음 깊은 곳으로부터 "그렇다"라는 답이 나온다면 다음으로 넘어가고, "글쎄"란 마음이 들면 그냥 술 한잔에, 담배 한 대로 깨달음 같은 건 잊으라! 깨달으려 한다면, 내려놓을 것들을 모두 내려놓아야 한다. 선(善)과 악(惡), 의(義)와 불의(不義), 호불호(好不好), 과거와 미래, 부처, 예수, 부모, 형제, 남편, 아내, 자식, 그리고 지위와 재산, 마지막으로 내 몸과 마음까지도 모두 내려놓으라. 그런 것들은 깨달음(안정)과는 관계가 없다. 오히려 방해가 된다. 깨닫고 나면 눈앞에 새 세상이 펼쳐진다. 그리곤 세상 모든 것의 주도권이 내게 온다. 깨달음을 원한다면 온 마음을 단전(丹田)에 모으고 인연을 기다려라. 그것이 선도..
"이리저리 살아보니, 인생은 결국 고통(苦痛)뿐인 거야" 그것을 안 것을 깨달음이라 하는 사람도 있고, "좋은 것도 지나가고, 나쁜 것도 결국은 지나가고 만다는 것"을 안 것을 깨달음이라 하는 이도 있고, "나라는 것이 있다고 따로 말할 만한 건 없어. 우리 모두는 하나로 연결된 거야"를 외치는 사람을 가리켜 깨달았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말이다... 그런 것이 과연 깨달음일까? 그런 복잡한 것 따지지 않고, 배고프면 아무 생각 없이 먹을 수 있고, 졸리면 죽은 것처럼 편히 잘 수 있게 된 사람이 진짜 깨달은 사람이 아닐까? 배 안 고파도 먹고, 졸려도 못 자는 사람이 가득한 이 세상에서 무사인(無事人)이 되어 사는 것 말이다. 어떻게들 생각하세요?
'깨달음'이나 '견성(見性)'이란 말을 들으면, 그것이 단지 불교의 것이라 생각하는 기독교인이 있습니다. 그것은 마치 '아버지'와 'Father'가 다르고, 'money'라는 것은 '돈'이 아니라는 것과 같습니다. 깨달음이란, 자기가 누군지를 알게 된 것이며, 見性이란 자기의 성품(性品)을 본 것입니다. 불교인에게나 기독교인에게나 동일하게 "자기(自己)"가 있으며, 性品이란 자기를 형성하는 주체, 누구나 지니고 있는 자기의 중심입니다. 기독교인은 성령(聖靈)체험이 바로 자기의 본체(本體)임을 알아채야 합니다. 그것은 기독교인의 특권입니다. 내가 아닌 별도의 신성(神性)을 설정하고 그것에 신앙을 바치는 것은 스스로 종속적인 삶 속에 자신을 가두는 것이며, 해탈(moksha)에 대한 권리를 자청해 포기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