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외단공 (19)
谷神不死

임독맥(任督脈) 유통(流通)에 앞서, 다소 힘이 들어도 확실한 축기(蓄氣)가 필요하다. 거저먹으려고만 하지 않는다면 축기는 사실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태산(太山)이 아무리 높기로 못 오를 리는 없기 때문이다. 일부 선도(仙道)단체에서는 의념(意念)으로 임독맥 돌리는 법을 그것도 5초 만에 빨리 돌리라고 가르친다. 마음(想像)으로 돌리는 것이므로 얼마든 가능하고, 빨리 돌리지 않으면 중도(中道)에 유실(遺失)될 수 있기 때문이란다! 예로부터 상상으로 돌리는 것을 가리켜 '공차(空車)를 돌린다', '빈 솥을 달군다'라고 했다. 상상(想像)으로 돌리라는 것부터가 망발(妄發)이다. 과일은 잘 익혀 먹어야 하며, 설익은 밥은 맛이 없다. 아무리 바빠도, 바늘귀를 묶어 바느질할 수는 없다. 귀찮다고 상상 속 ..

'주화입마(朱火入魔)'란 '더운 기운이 머리에 올라, 마귀가 자리잡는다'는 뜻이다. 그것을 피하려면 배와 손발을 늘 따뜻하게 해서 열(熱)의 균형을 찾도록 해야 한다. 주화입마는 통기(通氣)가 부족한 상태에서 무리한 의념(意念)을 사용했기 때문에 온다. 특히 욕심을 앞세운 수련이 원인인 경우도 많다. 나는 주화입마에 걸린 사람(比丘) 여럿을 외단공(外丹功)을 가르쳐 바로잡아 준 적이 있다. 주화입마는 약(藥)으로도, 침(針)으로도, 고치기 어렵다고 알려진 악질(惡疾)이다. 물론 성심성의껏 따라준 그들이 공(功)이 크지만, 아마 그들이 계속해서 좌선(坐禪)만을 고집했다면 낫기 어려웠을 것이다. 호흡만으로 축기(蓄氣)를 한다는 사람 역시 주화입마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통기(通氣)에 장애가 있다면 오히려 주..

상기병(上氣病)으로 찾아온 사람이 있었다. 너무 힘들어 수행을 포기했던 간화선 수행자도 있었다. 상기병이란 기운이 난조로 생기는 병이다. 두통뿐만 아니라 우울증 등 심리적 장애도 있을 수 있다. 과유불급이다. 몇초를 들이고 몇초를 참는 식의 지식을 하거나 의식의 중심을 머리에 두는 수련을 지속할 때 생긴다. 선승들에게 하단전을 관하도록 가르치는 큰스님(송담 지유)이 있다. 상기병의 메커니즘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제대로만 선도에 입문하면 언제 그랬느냐는 듯이 낫는 병이다. 억지로 하던 지식을 자연 호흡으로 바꾸고, 외단공을 통해 상하의 기운을 상통시키면 된다. 사람 몸에는 알아서 정상을 찾는 자동 시스템이 있지만 한계를 넘어 자연을 역행하면 문제를 일으키게 되어있다. 무슨 일이든 무턱대고 해서는 안 된다..

선도(仙道)의 일차 목표는 병 없이 오래 사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선도에는 건강을 돕고 병을 치료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이고 확실한 방법은 꾸준한 외단공(外丹功)으로 막힌 기(氣)를 통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조급해서는 안 됩니다. 6개월 정도면 급한 불은 끕니다. 병(病)의 뿌리가 깊다면 호흡법과 Image 연상법을 병행(竝行)해야 합니다. 그러려면 스스로 관찰자가 되어 선명(鮮明)한 시각화(視覺化)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혹시 스스로 산만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들숨 날숨 가운데 태극결(太極訣; 太一萬通)을 외우면 효과적입니다. 그것은 시각화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어서 신기하게 병을 낫게 합니다. 그 말속엔 막힌 氣를 열어주고, 단전(丹田)을 깨워내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자주국방(自主國防)이란 말이 있다. 간단히 말해, 내 나라는 내가 지켜야 한다. 동맹을 맺을지라도, 적어도 내 나라가 타국의 침탈(侵奪)을 받지 않을 정도의 국방력은 지녀야 한다. 현재 대한민국은 과거 어느 때보다 경제력이 커졌다고 한다. 그것은 곧 국방력일 테니 마음 든든하다. 내 몸과 마음 관리 역시 마찬가지다. 그것 역시 누구에게 의지(依支)해서 이루어지는 일이 아니다. 자주적(自主的)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의지(意志)를 세워 용의주도한 심신관리(心身管理) 계획을 짜야 한다. 몸과 마음이 자동으로 스스로 관리를 하게 되기까지 적어도 10년은 필요하다는 말이 있다. 에너지(氣) 수련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것이 취미처럼 되지 못하면 어렵다. 즐거워야만 성공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심신관리에..

소주천(小周天)이 어려운 이유는 자각(自覺)이 어려운 이유와 거의 같다. 첫째,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않는다. 소주천을 몰라도 여태 잘 살았다. 둘째, 집심(執心)에 정성을 쏟지 않는다. 관심사가 다른 곳에 있다. 셋째, 외단공(外丹功)에 정성을 쏟지 않는다. 아비 없이 어찌 아이를 낳는단 말인가? 외단공은 축기의 기본이다. 축기(蓄氣)가 안 되면 허당인 의념주천(意念周天)으로 흘러가고 만다. 넷째, 최소 6개월 정도는 마음을 흩트리지 말아야 성공한다.

오늘은 정암 선생님과 함께 강화읍에 있는 대한성공회(大韓聖公會) 강화성당(江華聖堂)을 찾았다. 이곳은 대한제국 시대에 세워진, 현존하는 한옥 교회 건물로서도 가장 오래된 성공회 성당이다. 내부로 들어서자, 그 분위기가 너무나 차분하고 정갈하여 마음이 저절로 가라앉았다. 내용은 분명 서양의 것인데, 조선 기와를 이고 있어서인지 원래 우리의 것인 것처럼 전혀 이질감이 들지 않았다. 내부로 들어서니 오히려 원조 성당에 해당하는 런던의 세인트 폴(Saint Paul’s) 대성당(훨씬 크고 웅장하다)에 가서 성가대의 찬송을 들을 때보다 더 몰입되었고, 작고 소박한 의자에 앉으니 나도 모르게 숙연함과 간절함이 마음 한가운데 쿵 하고 자리 잡는 것이었다. 순간, 옛날 그 시절, 아니, 지금 이 순간에도 자신을 내놓고..
음(陰)이 있으면 양(陽)이 있듯, 내단(內丹)은 외단(外丹)을 암시하는 말이다. 내단이 안에 있는 단이라면 외단은 밖에 가득한 것이다. 외단공(外丹功)은 우주에 가득한 기운을 몸의 중앙에 자리 잡게 하는 일이다. 외단공은 운동(運動)이지만 운동이라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힘을 빼고 자연에 맡기는 움직임들을 보면 운동이라기보다는 차라리 춤에 가깝다. 건강을 위해 근골을 단련하는 것도 아니고, 지구력을 기르는 것도, 파괴력을 만드는 것도, 몸매를 다듬는 것도 아니다. 외단공은 막힌 기맥(氣脈)을 열어주고 氣를 풍성하게 만드는 일이다. 그것은 내단과 외단을 만나는 자리를 만들고, 그 둘을 결합하게 한다. 우주는 음양이 만나야 생장하게 되어있듯, 생명은 내외단이 만나야 환골탈퇴(換骨脫退)의 길이 열리는 것..
외단공(外丹功)은 외단을 활성화하는 것이며, 그것은 잠자고 있는 내단(內丹)을 일깨운다. 하지만 단순히 내단의 보조 역할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건강, 즉 몸과 마음을 보호한다. 그것은 언뜻 보면 운동처럼 보이지만 근본 에너지(氣)를 운행하는 수행이다. 단 10분만 해보면 금방 알 수 있다. 외단공은 운동의 범위를 훨씬 넘어서 있다는 것을... 그것은 체온과 혈압을 조절하고, 신진대사를 도우며, 아울러 면역력과 회복력을 함께 높인다. 그것에는 손상된 내장기능이나 근육 관절을 되살리는 신비한 기능도 있다. 운동기 장애는 물론이거니와 고혈압이나 간 기능 저하, 심장 등의 순환장애, 불면증이나 장 기능 저하, 당뇨병이나 척추관절 문제, 그리고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질환 등으로 고생 받던 사람들이 외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