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진아 (6)
谷神不死

무아(無我)와 자아(自我)에 대해 간단히 말하자. 인식(認識)한다는 것은 존재(存在)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나’를 인식하는 사람에게만 ‘나’는 실재한다. 그리고 ‘나’를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나’는 없다. 왜 ‘나’ 말고 진아(眞我)라는 말을 끌어와야 하는가? 그것으론 부족한가? 지금 이 ‘나’는 허깨비인가? 아니면 없애야 할 대상인가? 누가 뭐라고 말해도 여기 ‘나’는 있다. 있는 것을 없다고 한다고, 그것이 없어지지는 않는다. ‘나’는 여기 이렇게 성성(惺惺)하지 않은가? 인식이 있는 한 ‘나’는 언제나 여기 있다.

불교의 핵심을 말하자면, '나라고 할만한 것은 없다', 즉 무아(無我)이다. 그것이 싯다르타 깨달음의 정수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바라문교(힌두교)는 유신론이다. 창조, 유지, 파괴를 담당하는 삼주신(Trimurty로서 Brahma, Vishunu, Shiva)을 신앙하며, 개체적 자아인 Atman이 우주의 궁극적 실재인 Brahman과 합해지는 것을 최종적 희망으로 생각한다. 그 신앙 체계를 뒤엎은 것이 불교이다. 불교의 교리 체계는 거의가 無我를 증명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대승(大乘)이 출현하며 힌두의 윤회까지 받아들이더니, 無我가 진아(眞我)라는 해괴한 믿음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그렇다고 부처의 가르침인 無我를 부정할 수는 없어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다'라..

깨달은 이에게는 끄달림(苦)이 없다. 그는 진실(眞實)이 아닌 것들에 대해 관심을 두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오직 진리(眞理)에만 관심이 있다. 진아(眞我)는 오온(五蘊)에 속하지 않는다. 그는 그와 세상을 나누지 않으며, 그러므로 그에게는 갈등도 없다. 우리의 고통은 분별심 때문이며, 에고가 만드는 비교하는 마음, 호(好)불호(不好)가 우리를 불편하게 한다. 에고는 허깨비다. 그것은 연기(緣起)로만 존재한다. 그러므로 한쪽이 무너지면, 다른 한쪽도 무너지게 되어 있다. 진아(眞我)는 자체로 완벽하다. 그것은 무엇과도 연기하지 않으며, 무엇에도 속하지 않는다. 그것은 불생불멸(不生不滅)이다. 단지 존재하며, 단지 지켜볼 뿐이다. 깨달은 이는 진아와 에고, 절대 의식과 상대 의식의 진실을 알고 있다. 그러..

'무아(無我)'를 믿고 있다면, 세상 살아가기가 아주 곤란할 것이다. 일단 자기가 가진 모든 소유를 자기가 있다고 하는 사람에게 양도해야 한다. 그래야 정말로 '나 없음'이 증명될 것이니 말이다. 재물과 권력, 명예 정도를 양도하기는 쉬울 것이다. 하지만 몸과 마음, 그리고 자기주장과 믿음까지 모두 포기할 수 있을까? 어려운 일이다. 거기에 내가 숨 쉬며 살아있기 때문에... 주장을 할 때도 거기엔 '내'가 있다. 배가 고프면 배고픈 걸 알고, 졸리면 졸린 줄 알고, 죽비 소리에 깜짝 놀라는 바로 '그놈' 말이다. 이른바 '참나', 즉 진아(眞我)라 부르는 그놈, 우리가 깨닫기가 어려운 이유는 없는 그것을 찾으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언제나 나와 함께 있으며, 생긴 적도 없었고, 사라지지도 않는 ..
인간은 존재감(存在感)으로 산다. 누구로부터 나의 존재를 인정받고 싶은 것은 아이나 노인이나 마찬가지다. 가급적 좋은 존재감이면 더욱 좋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선 부정적인 존재감이라도 상관없다. 단지 존재감이 필요한 것이다. 존재감은 삶의 활력소가 된다. 울어대는 아이나, 사랑을 구하는 젊은이나, 손자가 보고싶은 노인이나 모두가 절실한 존재감 때문이다. 우리가 무엇을 성취하려 하고, 무언가를 가지려 하고, 타인에게 무언가를 베푸는 일...그것이 안되면 타인을 폭행하고, 심지어 요즘 미국에서 자주 일어나는 총기난사에 이르기까지 하나같이 존재감과 연관이 있다. 남에게 인정을 받을 때나, 누군가로부터 사랑을 받을 때 행복해지는 것도 존재감 때문이며, 사업의 실패, 명예의 상실, 소외감, 자책감, 우울증 등으로..
깨달은 이에게는 끄달림(苦)이 없다. 그에게는 진실(眞實)이 아닌 것들에 대한 가치가 존중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무아(無我)를 말하는데, 여기서 그가 말하는 我는 나와 남, 나와 세상을 분리시키는 에고이다. 그것은 실재(實在)하지 않는다. 그것은 생각에 근거하여 존재하므로, 생각을 내려놓는 순간 사라진다. 진아(眞我)는 오온(五蘊)에 속하지 않으며, 그에게는 자타(自他)가 없다. 그는 그와 세상을 나누지 않으며, 그러므로 그에게는 갈등도 없다. 우리의 고통은 분별심 때문이며, 그것이 만드는 비교하는 마음, 호불호(好不好)가 우리를 불편하게 한다. 깨달은 자는 에고가 허깨비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에고는 연기(緣起)로만 존재한다. 그러므로 한쪽이 무너지면 다른 한쪽도 무너지게 되어있다. 眞我는 자체로..